Posts

Showing posts from September, 2018

지형

Image
손자병법에서 말하기를 지형은 승리를 얻기 위한 유력한 보조 조건이며, 적과 아군의 전력을 충분히 파악하고 있더라도 지리가 나쁘다는 것을 모르면 승리의 확률이 반반이라고 말하고 있다. 롤에서도 마찬가지로 지형을 파악하는 것은 소규모 또는 대규모 승리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손자병법에서는 지형을 열려있는 곳(통형), 장해가 되는 곳(괘형), 가지처럼 갈라져 있는 곳(지형), 좁혀져 있는 곳(애형), 험한 곳(험형), 떨어져 있는 곳(원형), 6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롤은 통형, 괘형, 지형, 험형에 대한 지식으로 소환사의 협곡을 설명 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애형, 원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첫번째로 열려 있는 지형(통형)은 적군과 아군 모두에게 지리적 이점을 제공하지 않는 지역이다. 예로, 탑, 미드, 바텀 라인의 경우는 블루나 퍼플팀이 특정한 이득을 얻지 못하게 제작되어 있다.  게임 초반에 미니언 라인이 형성되는 곳으로 공평하게 힘 겨루기 하기 좋은 곳이다.  후반 대규모 전투시 전력이 유리하다면 싸워 볼만 한 곳이다.  두번째로 장해가 되는 곳(괘형)은 나아가기는 쉬우나 물러서기가 어려운 지형 즉, 퇴로가 보장되지 않는 지형을 말한다.   양팀의 전력이 비슷한 게임의 초반에는 맵의 강물을 기준으로 지형이 이등분 된다. 따라서 강을 건너는 행위 자체는 사실상 안전한 지대를 넘는 행위가 되어 위험 부담이 있지만 미드, 탑, 바텀의 라인의 상태에 따라서 카운터 정글을 하거나 갱킹에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위의 그림에서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은 라인의 상태가 아군에게 유리 하더라도 블루팀의 입장에선 진입하기 꺼려지는 곳이다.  예를 들어 블루팀의 정글러가 카정을 하거나 와드를 설치하기 위해서 적 정글 깊숙히 들어가기 위해서 빨간색 화살표의 진입로를 선택한다고 가정해 보자. 첫 번째로 탑부분의 빨간 화살표의 진입로는 설령 탑의 라인